취득원가3 회계원리 (23): 유형자산 유형자산이란? 유형자산은 재화의 생산, 용역의 제공 등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유하는, 물리적 실체가 있으며, 한 회계기간을 초과하여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을 말한다. 유형자산의 예로는 토지, 건물, 기계장치, 선박, 항공기, 차량운반구, 집기, 사무용비품 등이 있다. 이때 사무용비품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연필, 볼펜과 같은 소모품이 아니라 책상이나 PC 등 여러 회계기간에 걸쳐 사용되는 비품을 말한다.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우선 유형자산을 취득할 때 그 원가는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자. 취득원가는 구입가격, 매입관련원가, 추정복구원가의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취득원가 = 구입가격 + 매입관련원가 + 추정복구원가 구입가격은 말 그대로 해당 유형자산을 구입하는 데 쓰인 비용을 .. 2023. 5. 10. 회계원리(22): 재고자산의 저가법 저가법 이제까지 우리는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를 어떻게 산정할 것인지를 배웠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재고자산의 가치도 수시로 변동하기 마련이다. 예를들어 삼성전자에서 휴대폰을 팔고 남았는데, 신제품이 출시된다면 어떨까? 대부분의 경우 휴대폰 판매 가격이 하락할 것이다. 이처럼 재고자산의 판매가격이 하락한 경우, 진부화되 경우, 또는 물리적으로 손상된 경우 이러한 가치 하락을 반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법이 바로 저가법이다. 저가법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말재고 = min(순실현가치, 취득원가) 재고자산평가손실 - 순취득원가 - 순실현가치 순실현가치는 내가 이 제품을 판매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순수한 이익을 말하는 것이다.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같은 금액만큼을 재고자산평가충당금으로 기록.. 2023. 5. 9. 회계원리 (20) : 재고자산과 재고자산의 기록방법 재고자산이란? 재고자산은 기업이 정상적이 영업활동 중에 '판매'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을 뜻한다. 재고자산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상품(Merchandise): 완성된 상품을 외부에서 구입하여 재판매하는 재고자산.(회사가 직접 만들지 않은 것) 원재료(Raw Material): 제조활동에 투입되어 완제품을 제조할 목적으로 구입한 원료와 재료 재공품(Work in progress): 생산공정에 있는 미완성품 제품(Finished goods): 생산이 완료된 완제품 제조기업의 경우 원재료를 사와서 가공하고, 이를 제품으로 만들게 되는데, 각 단계에 속한 것들 모두 재고자산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만 재공품처럼 생산 공정 중에 있는 자산의 경우 회계 처리가 굉장히 복잡해지게 되는데, 회계원리 수준에선 .. 2023. 5.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