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회계원리 (1) : 회계의 의의

by 고우 2023. 3. 9.
반응형

별도의 출처 표기가 없는 한, 본문의 모든 내용은 <사례와 함께하는 회계원리 (최종학·송혁준·곽수근)> 1판에 그 출처를 두고 있음을 밝힙니다.


회계란 무엇인가?

회계는 '회계정보이용자가 합리적 판단이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경제적 정보를 식별, 측정, 전달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정보시스템'이다. (미국회계학회 정의)

  • 식별 (인식) : 경제 주체에게 발생한 경제적 사건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현금이 나간 날 사건을 인식할지(현금주의) 또는 실질적인 거래가 이루어진 날 인식할지(발생주의)가 갈린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로 물건을 구매하면 구매일과 현금이 나가는 날짜가 다르다. 구매일에 거래를 기록하멸 발생주의이고, 통장에서 돈이 나간 날 거래를 기록하면 현금주의이다. 대부분 발생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 측정 (평가) : 식별한 경제적 활동을 계량화하고 수치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 전달 (보고) : 식별되고 측정된 경제적 정보를 회계정보이용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재무제표가 대표적인 보고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회계의 사회적 기능

회계의 사회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경제적 자원배분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경영자가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 투자자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경영 상태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회계는 이런 기업 내·외부 사람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 수탁책임 이행여부 평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오늘날 많은 회사들은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는데, 경영자들은 회사의 주주 및 채권자에게 수탁책임(stewardship responsibilities)에 따라 경영 성과를 보고할 회계 책임(accountability)이 발생한다. 회계는 이러한 수탁책임을 성실히 수행했는지 판단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회계의 분류

회계의 분류는 크게 5가지가 있다. 

  1. 재무회계(financial accounting) : 기업의 거래와 사건 등을 측정, 기록하여 생산된 회계정보를 외부정보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회계이다.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기준에 따라 회계 처리 및 보고를 하도록 되어있다. 
  2.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 : 기업의 내부정보이용자가 의사결정을 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보고 시기나 형식 등에 제약이 없다. 원가를 결정하고 관리하는 원가회계(cost accounting)를 포함하지만, 원가회계의 경우는 재무회계에서도 필요하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는 있다.
  3. 세무회계(tax accounting): 세법에 따른 납부세액을 계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법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세금을 최소화하는 세무계획(tax planning)을 수립하고 실시하는 일도 한다.
  4. 회계감사(auditing): 기업의 재무제표가 부정이나 오류 없이 회계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외부의 독립적인 감사인(공인회계사)이 판단하고, 감사인은 재무제표와 함께 감사보고서(audit report)와 감사의견(autit)을 표명한다.
    • 일정규모 이상의 회사는 외부감사를 받을 의무가 있다.
    • 감사의견의 종류엔 적정의견, 한정의견, 부적정의견, 의견거절이 있다.
  5. 비영리회계(non-for-profit accounting): 정부기관과 공익법인, 학교, 병원 등의 비영리기관의 활동과 사건 등을 측정, 기록하여 회계정보를 생산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반응형

댓글